본문 바로가기

수학 공부하기

초5수학 - 직육면체

728x90

✅ 1. 직육면체란?

정의:
직육면체는 여섯 개의 면이 모두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입체도형이에요. 쉽게 말하면, 우리가 흔히 보는 상자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 직육면체의 구성 요소

직육면체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구성 요소 설명
직사각형 6개로 이루어짐 (서로 마주 보는 면은 크기가 같음)
모서리 면과 면이 만나는 선, 총 12개
꼭짓점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점, 총 8개
 

✅ 3. 직육면체의 특징

  • 면의 수: 6개
  • 모서리의 수: 12개
  • 꼭짓점의 수: 8개
  • 서로 마주 보는 면은 크기가 같고 평행함
  • 모서리는 모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만나며, 네 면이 만나서 꼭짓점을 이룸

✅ 4. 직육면체의 겉넓이 구하기

겉넓이란, 직육면체를 감싸고 있는 겉면 전체의 넓이를 말해요.

겉넓이 구하는 공식:

겉넓이 = 2 × (가로 × 세로 + 세로 × 높이 + 가로 × 높이)

  • (가로 × 세로) : 밑면과 윗면
  • (세로 × 높이) : 앞면과 뒷면
  • (가로 × 높이) : 왼쪽 면과 오른쪽 면
    각각의 면이 쌍으로 있으니 × 2를 해주는 거예요.

✅ 5. 직육면체의 부피 구하기

부피란, 직육면체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의 크기예요.

부피 구하는 공식:

부피 = 가로 × 세로 × 높이

  • 단위: cm³ (세제곱 센티미터), m³ (세제곱 미터) 등

✅ 6. 직육면체와 관련된 활동 예시

  • 전개도 만들기: 직육면체를 펼쳐서 평면 도형으로 만들기
  • 종이로 직육면체 만들기: 전개도를 자르고 접어서 직접 모형 만들어 보기
  • 상자 측정: 집에 있는 상자들의 가로, 세로, 높이를 재서 겉넓이, 부피 계산하기

✅ 7. 관련 용어 정리

영어 설명
전개도 입체도형을 펼쳐서 평면으로 나타낸 그림
정육면체 직육면체 중에서 모든 면이 정사각형인 도형
입체도형 공간을 차지하는 도형 (예: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기둥 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