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단계: 개념 확인 문제
✏️ [문제 1] 직육면체의 구성 요소 찾기
아래 그림은 직육면체입니다.
다음 질문에 답해 보세요.
(※ 그림이 없을 경우, 손으로 상자 모양을 그려도 좋습니다.)
- 직육면체에는 면이 몇 개 있나요?
- 꼭짓점은 모두 몇 개인가요?
- 모서리는 모두 몇 개인가요?
- 서로 마주 보는 면의 이름을 짝지어 써 보세요.
예) 앞면 - ( ), 밑면 - ( )
📏 2단계: 겉넓이 & 부피 계산 문제
✏️ [문제 2] 겉넓이 구하기
가로 5cm, 세로 4cm, 높이 3cm인 직육면체가 있습니다.
이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해 보세요.
풀이 과정도 함께 써 보세요.
(공식: 겉넓이 = 2 × (가로×세로 + 세로×높이 + 가로×높이))
✏️ [문제 3] 부피 구하기
가로 6cm, 세로 3cm, 높이 2cm인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해 보세요.
(공식: 부피 = 가로 × 세로 × 높이)
✏️ [문제 4] 도전! 거꾸로 문제
겉넓이가 94cm²이고, 가로가 5cm, 세로가 4cm인 직육면체가 있습니다.
이 직육면체의 높이는 얼마일까요?
✂️ 3단계: 활동지 (직육면체 만들기)
🧩 활동 1: 전개도 완성하기
다음은 전개도의 일부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면의 이름을 써 넣고, 서로 마주 보는 면이 맞도록 완성해 보세요.
[윗면] [왼쪽] [앞면] [오른쪽] [뒷면] [밑면] |
- 마주보는 면의 짝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해요.
- 완성한 후, 전개도를 종이에 그려서 오려 접어 보도록 지도하면 효과적입니다.
🧱 활동 2: 집에 있는 직육면체 찾아보기
준비물: 자, 공책, 필통, 우유곽, 상자 등
활동 방법:
- 집이나 교실에서 직육면체 모양의 물건을 3개 이상 찾아보세요.
- 각 물건의 가로, 세로, 높이를 자로 재고 아래 표를 채워 보세요.
물건 이름 | 가로(cm) | 세로(cm) | 높이(cm) | 겉넓이(cm²) | 부피(cm³) |
예: 필통 | 20 | 5 | 4 | ? | ? |
🎯 4단계: 응용 문제
✏️ [문제 5] 직육면체 속의 정육면체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6cm인 직육면체가 있습니다.
이 안에 가로, 세로, 높이 2cm짜리 정육면체를 최대 몇 개 넣을 수 있을까요?
(힌트: 한 변에 몇 개 들어가는지 세어 보고, 전체 개수를 곱해 보세요)
✏️ [문제 6] 크기 비교하기
다음 두 직육면체의 부피를 비교해 보세요.
어떤 것이 더 클까요?
- A: 가로 8cm, 세로 5cm, 높이 2cm
- B: 가로 6cm, 세로 4cm, 높이 3cm
✏️ [문제 1] 직육면체의 구성 요소 찾기
- 면의 개수: ▶️ 6개
- 꼭짓점의 수: ▶️ 8개
- 모서리의 수: ▶️ 12개
서로 마주 보는 면의 이름 짝짓기 예시:
앞면 | 뒷면 |
밑면 | 윗면 |
왼쪽 | 오른쪽 |
📏 [문제 2] 겉넓이 구하기
가로 5cm, 세로 4cm, 높이 3cm인 직육면체
공식:
겉넓이 = 2 × (가로×세로 + 세로×높이 + 가로×높이)
= 2 × (5×4 + 4×3 + 5×3)
= 2 × (20 + 12 + 15)
= 2 × 47 = 94㎠
✅ 정답: 94㎠
✏️ [문제 3] 부피 구하기
가로 6cm, 세로 3cm, 높이 2cm
공식:
부피 = 가로 × 세로 × 높이
= 6 × 3 × 2 = 36㎤
✅ 정답: 36㎤
✏️ [문제 4] 도전! 거꾸로 문제
겉넓이 = 94㎠, 가로 = 5cm, 세로 = 4cm → 높이 h = ?
공식:
겉넓이 = 2 × (가로×세로 + 세로×높이 + 가로×높이)
94 = 2 × (5×4 + 4×h + 5×h)
94 = 2 × (20 + 4h + 5h)
94 = 2 × (20 + 9h)
94 = 40 + 18h
→ 18h = 54
→ h = 3
✅ 정답: 높이 3cm
✂️ 활동 1: 전개도 완성하기
면 이름 완성:
마주 보는 면 짝 |
윗면 - 밑면 |
앞면 - 뒷면 |
왼쪽 - 오른쪽 |
👉 전개도에 6개의 면 이름을 적고 마주 보는 면이 짝이 되도록 배치하면 됩니다.
🧱 활동 2: 직육면체 물건 찾기 예시
물건 이름 | 가로(cm) | 세로(cm) | 높이(cm) | 겉넓이(cm²) | 부피(cm³) |
필통 | 20 | 5 | 4 | 2×(20×5 + 5×4 + 20×4) = 2×(100 + 20 + 80) = 400 | 20×5×4 = 400 |
우유곽 | 6 | 6 | 10 | 2×(6×6 + 6×10 + 6×10) = 432 | 6×6×10 = 360 |
👉 실제 측정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문제 5] 정육면체 몇 개 들어가나?
큰 직육면체 크기: 6cm × 6cm × 6cm
작은 정육면체: 2cm × 2cm × 2cm
한 변당 들어갈 개수:
6 ÷ 2 = 3개
→ 가로 3개 × 세로 3개 × 높이 3개 = 27개
✅ 정답: 27개
✏️ [문제 6] 크기 비교
A: 8 × 5 × 2 = 80㎤
B: 6 × 4 × 3 = 72㎤
✅ 정답: A가 더 큽니다
'수학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초등학교 5학년 수학 | 평균과 가능성, 쉽게 배우기! (1) | 2025.06.17 |
---|---|
초5수학 - 📦 직육면체 단원 문제 (1) | 2025.05.19 |
초5수학 - 직육면체 (0) | 2025.05.15 |
초5수학 - 소수의 곱셈 (소수 × 소수) (0) | 2025.05.14 |
초5수학 - 소수의 곱셈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