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16)
초등학교 3학년 (국어) 이야기글 1. 이야기 글의 주요 특징이야기 글(서사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인물: 주인공과 조연 인물이 등장하며, 이들의 성격과 행동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됩니다.배경: 시간적·공간적 배경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야기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칩니다.사건(줄거리): 이야기의 흐름을 결정하는 주요 사건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합니다.문제와 해결: 주인공이 겪는 갈등이나 문제 상황이 설정되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교훈 및 주제: 이야기의 핵심 메시지나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2. 이야기 글의 구성 요소이야기 글은 일반적으로 **‘발단 - 전개 - 절정 - 결말’**의 구조로 이루어집니다.발단(시작)이야기의 배경(언제, 어디서)이 소개됩니다.등장인물이 소개되며, 주요 설정이 주어집니다.예) “옛날 어느 마을에 ..
GhatGPT가 만들어주는 구구단표 문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구구단표 문제 만들기 이렇게 여러 단계를 거치면 원하는 표를 만들 수 있다.
부사(Adverbs) 만드는 법 (형용사에 -ly) 1. 기본적인 규칙대부분의 형용사에 -ly를 붙이면 부사가 됩니다.형용사 (Adjective)부사 (Adverb)slow (느린)slowly (느리게)quick (빠른)quickly (빠르게)happy (행복한)happily (행복하게)careful (신중한)carefully (신중하게)📌 예문:She speaks clearly. (그녀는 분명하게 말한다.)He walked slowly. (그는 천천히 걸었다.)2. 끝이 -y로 끝나는 형용사형용사가 -y로 끝나면, -y를 -i로 바꾼 후 -ly를 붙입니다.형용사 (Adjective)부사 (Adverb)happy (행복한)happily (행복하게)easy (쉬운)easily (쉽게)angry (화난)angrily (화나게)noisy (시끄러운)noisi..
초등학교 3학년 (국어) 초등학교 3학년 국어 교육과정은 2학년까지 배운 기본적인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능력을 확장하여 보다 깊이 있는 이해와 표현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학생들은 다양한 종류의 글을 접하고, 글의 구조를 파악하며,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연습을 합니다.1. 읽기(독해 능력 강화)읽기 영역에서는 이야기글, 설명문, 시 등 다양한 유형의 글을 읽으며 내용을 파악하고, 중심 생각을 찾는 연습을 합니다.이야기 글: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하고, 사건의 흐름을 정리하는 활동을 합니다.설명문: 글의 구조를 이해하고,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방법을 배웁니다.시(운문): 시의 분위기와 주제를 이해하고, 표현 기법(비유, 반복 등)을 익힙니다.읽기 전략: 제목, 소제목, 그림 등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GhatGPT가 만들어주는 구구단표 아이가 볼 구구단표를 워드패드로 만들다가내가 왜 이러고 있나 하며GhatGPT 만들어 달라고 했다.
부사(Adverbs)의 위치 1.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주로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해.특히, 부사의 유형에 따라 위치가 다를 수 있어.(1) 일반적인 동사 앞/뒤에 위치She carefully opened the box. (조심스럽게 상자를 열었다.)He speaks English fluently. (그는 영어를 유창하게 말한다.)👉 일반적으로 짧은 부사는 동사 뒤에, 긴 부사는 동사 앞에 오는 경우가 많아.(2) 목적어가 있으면 목적어 뒤에 위치She reads books quickly. (그녀는 책을 빠르게 읽는다.)He answered the question correctly. (그는 질문에 정확하게 답했다.)❗ 하지만 목적어가 대명사면 동사 뒤, 대명사 앞에 온다.She picked it up q..
중학교 1학년 (수학) - 소수와 합성수 문제 1. 소수 판별 문제문제 1다음 숫자 중 소수인 것을 모두 고르시오.11, 14, 17, 20, 23, 25, 29, 30풀이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 약수로 가지는 수야. 하나씩 나눠보자!11 → 소수 (약수: 1, 11)14 → 합성수 (약수: 1, 2, 7, 14)17 → 소수 (약수: 1, 17)20 → 합성수 (약수: 1, 2, 4, 5, 10, 20)23 → 소수 (약수: 1, 23)25 → 합성수 (약수: 1, 5, 25)29 → 소수 (약수: 1, 29)30 → 합성수 (약수: 1, 2, 3, 5, 6, 10, 15, 30)📌 정답: 11, 17, 23, 29 (소수)2. 합성수 판별 문제문제 2다음 숫자 중 합성수가 아닌 것은?21, 31, 36, 44, 51풀이합성수는 1과 자기 자신 ..
확률을 나타내는 부사 (Adverbs of Probability) 예제/문제 확률을 나타내는 부사 (Adverbs of Probability) 는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이 부사들은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대한 추정이나 예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영어에서 확률을 나타내는 부사는 how likely (얼마나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지)라는 질문에 대답합니다.1. 주요 예시:probably (아마, 아마도)certainly (확실히)definitely (확실히, 분명히)possibly (어쩌면, 가능성이 있게)likely (그럴 듯하게, 아마)unlikely (그럴 가능성이 적은)certain (확실한)maybe (아마)perhaps (어쩌면)2. 예문:She will probably come to the party.(그녀는 아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