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로소(互素, Coprime)란?
서로소란 두 수의 공약수가 1뿐인 관계를 말해. 즉, 공통된 약수가 1밖에 없으면 그 두 수는 서로소야.
1. 서로소의 기본 개념
- 두 수 와 가 있을 때, 최대공약수(GCD)가 1이면 와 는 서로소!
- 예시:
- 8과 15
- 8의 약수: 1, 2, 4, 8
- 15의 약수: 1, 3, 5, 15
- 공약수: 1 (→ 서로소)
- 12와 18
- 12의 약수: 1, 2, 3, 4, 6, 12
- 18의 약수: 1, 2, 3, 6, 9, 18
- 공약수: 1, 2, 3, 6 (→ 서로소 아님)
- 8과 15
2. 서로소의 특징
- 서로소의 최대공약수(GCD)는 항상 1
- 예) 9와 10 → 최대공약수(1) → 서로소
- 연속된 두 자연수는 항상 서로소
- 예) (5, 6), (10, 11), (99, 100) 등은 서로소
- 소수끼리는 다르다면 서로소
- 예) 7과 13 → 둘 다 소수, 공통된 약수가 1뿐 → 서로소
- 어떤 수와 1은 항상 서로소
- 예) 1과 100 → 서로소
- 두 수의 곱이 최소공배수와 같으면 서로소
- 즉,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a × b
- 예) 8과 15
- 최대공약수 = 1
- 최소공배수 = 8 × 15 = 120
- 1 × 120 = 8 × 15 → 서로소
3. 서로소인지 판별하는 방법
(1) 약수를 나열해서 확인하기
- 숫자가 작을 때는 약수를 모두 적고 공약수가 1뿐인지 확인하면 돼.
(2) 소인수분해를 이용하기
- 소인수분해 후 공통된 소인수가 없으면 서로소
- 예) 35와 48
- 35 = 5 × 7
- 48 = 2 × 2 × 2 × 2 × 3
- 공통된 소인수가 없음 → 서로소
(3) 유클리드 호제법 활용
- 서로소라면 나누기를 반복했을 때 최대공약수가 1이 돼야 함.
4. 서로소의 활용
서로소 개념은 수학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해.
(1) 기약분수와 약분
- 분수에서 분자와 분모가 서로소이면 그 분수는 더 이상 약분할 수 없는 기약분수가 돼.
(2) 서로소의 개수 (오일러 피 함수, φ(n))
- 어떤 자연수 n보다 작고 n과 서로소인 수의 개수를 찾는 함수
- 예) 10보다 작은 자연수 중 10과 서로소인 수 → 1, 3, 7, 9 (4개)
(3) 암호학 (RSA 알고리즘)
- 소수와 서로소 개념이 RSA 암호 알고리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 두 개의 큰 소수를 서로소로 사용하여 보안성을 높임.
5. 서로소 예제 문제
문제 1
다음 중 서로소인 두 수를 고르세요.
① (12, 16)
② (9, 28)
③ (14, 21)
④ (18, 24)
풀이
① 12와 16 → 공약수(1, 2, 4) → ❌
② 9와 28 → 공약수(1) → ✅ (서로소!)
③ 14와 21 → 공약수(1, 7) → ❌
④ 18과 24 → 공약수(1, 2, 3, 6) → ❌
정답: ② (9, 28)
728x90
'수학 공부하기 > 중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1 수학 -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최대공약수 문제 (0) | 2025.04.08 |
---|---|
중1 수학 - 최대공약수 문제 (0) | 2025.04.07 |
중1 수학 -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 (0) | 2025.04.05 |
중1 수학 - 공약수 (0) | 2025.04.04 |
중학교 1학년 (수학) -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약수 구하기 문제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