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합성수(合成數, Composite Number)란?
합성수는 1과 자기 자신 외에 다른 약수를 더 가지고 있는 자연수를 말해. 즉, 두 개 이상의 소수를 곱해서 만들 수 있는 수야.
1. 합성수의 정의와 특징
- 1보다 크면서 소수가 아닌 자연수를 합성수라고 해.
- 소수는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뿐이지만, 합성수는 여러 개의 약수를 가짐.
예를 들어,
- 4의 약수: 1, 2, 4 → (소수 2가 약수로 포함됨) → 합성수
- 6의 약수: 1, 2, 3, 6 → (소수 2와 3이 약수로 포함됨) → 합성수
- 9의 약수: 1, 3, 9 → (소수 3이 약수로 포함됨) → 합성수
📌 반대로 소수는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뿐이므로, 합성수와 다르다.
예: 2, 3, 5, 7, 11, 13, 17, … (소수)
2. 합성수의 예시
- 가장 작은 합성수: 4 (2 × 2)
- 10까지의 합성수: 4, 6, 8, 9, 10
- 20까지의 합성수: 4, 6, 8, 9, 10, 12, 14, 15, 16, 18, 20
✅ 모든 짝수(2 제외)는 합성수!
✅ 모든 홀수는 소수일 수도 있고, 합성수일 수도 있어!
예:
- 홀수 9 = 3 × 3 (합성수)
- 홀수 7 = 소수
3. 합성수의 성질
- 1은 합성수가 아니다
- 합성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하는데,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야.
- 2는 합성수가 아니다 (소수다!)
- 2는 1과 2만을 약수로 가지므로 합성수가 아니라 소수야.
- 합성수는 항상 두 개 이상의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예:
- 12 = 2 × 2 × 3
- 18 = 2 × 3 × 3
- 예:
- 모든 합성수는 소인수분해가 가능하다
- 어떤 합성수든 소수들의 곱으로만 나타낼 수 있어.
- 예: 30 → 2 × 3 × 5
4. 소수 vs 합성수 비교
개념 | 정의 | 예시 |
소수 | 1과 자기 자신만 약수로 가지는 수 | 2, 3, 5, 7, 11, 13, 17, … |
합성수 | 자기 자신 외에 다른 약수를 더 가지고 있는 수 | 4, 6, 8, 9, 10, 12, 14, … |
1 | 소수도 합성수도 아님 | 1 |
5. 합성수 판별법
어떤 수 N이 합성수인지 확인하려면:
- 소수가 아닌지 확인한다.
- 2 이상 작은 소수들(2, 3, 5, 7, …)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한다.
- 나누어떨어지면 합성수다!
예제:
- 15: 1, 3, 5, 15 → (소수 3과 5가 약수로 포함됨) → 합성수
- 17: 1, 17 → (약수가 2개뿐) → 소수
- 21: 1, 3, 7, 21 → (소수 3과 7이 약수) → 합성수
6. 합성수와 소인수분해
모든 합성수는 소인수분해(Prime Factorization)를 할 수 있어.
즉,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시:
- 30 = 2 × 3 × 5
- 42 = 2 × 3 × 7
- 100 = 2 × 2 × 5 × 5
7. 합성수 활용 예시
-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문제 풀이
- 최대공약수(GCD), 최소공배수(LCM) 구할 때 필수
- 암호학과 데이터 보안 (RSA 암호화에 소수와 함께 사용됨)
8. 정리

728x90
'수학 공부하기 > 중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1학년 (수학) - 소인수분해(素因數分解, Prime Factorization) (0) | 2025.03.31 |
---|---|
중학교 1학년 (수학) - 소수와 합성수 문제 (0) | 2025.03.15 |
중학교 1학년 (수학) - 소수(素數, Prime Number) (0) | 2025.03.13 |
중학교 1학년 (수학) - 거듭제곱 문제 (0) | 2025.03.12 |
중학교 1학년 (수학) - 거듭제곱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