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 수학 - 공약수
공약수란 두 개 이상의 자연수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약수를 뜻해. 1. 약수와 공약수 개념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자연수예시: 12의 약수 → 1, 2, 3, 4, 6, 12예시: 18의 약수 → 1, 2, 3, 6, 9, 18공약수: 두 수의 약수 중에서 공통된 수12와 18의 공약수 → 1, 2, 3, 62. 공약수를 구하는 방법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1) 두 수의 약수를 모두 나열하여 공통된 수 찾기예시: 15와 20의 공약수15의 약수: 1, 3, 5, 1520의 약수: 1, 2, 4, 5, 10, 20공약수: 1, 5이 방법은 숫자가 작을 때는 간단하지만, 숫자가 커지면 나열하기 어려워져.(2) 두 수를 소인수분해하여 공통된 부분 찾기소인수분해를 하면 공약수를..
중학교 1학년 (수학) -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약수 구하기 문제
🔹 문제 1. 48의 약수를 모두 구하세요.✏ 풀이1️⃣ 48을 소인수분해2️⃣ 약수의 개수 구하기공식: (지수+1)×(지수+1)(4 + 1) × (1 + 1) = 5 × 2 = 10✅ 약수는 10개!3️⃣ 약수 구하기 (가능한 모든 조합 만들기)1, 2, 3, 4, 6, 8, 12, 16, 24, 48✅ 48의 약수: 1, 2, 3, 4, 6, 8, 12, 16, 24, 48🔹 문제 2. 90의 약수를 모두 구하세요.✏ 풀이1️⃣ 90을 소인수분해2️⃣ 약수의 개수 구하기공식: (지수+1)×(지수+1)×(지수+1)(1 + 1) × (2 + 1) × (1 + 1) = 2 × 3 × 2 = 12✅ 약수는 12개!3️⃣ 약수 구하기 (가능한 모든 조합 만들기)1, 2, 3, 5, 6, 9, 10, 15,..
조동사 Shall vs. Should 비교
조동사 Shall vs. Should 비교1. 기본 개념Shall: 주로 공식적이거나 문어체에서 사용되며, 미래에 대한 의무, 의도, 또는 강한 약속을 나타냄.Should: Shall의 과거형이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권유, 충고, 의무, 가능성" 등의 의미로 더 자주 사용됨.2. 용법 비교구분ShallShould미래 표현(격식적) 1인칭 주어(I, We)와 함께 미래를 나타냄. e.g., I shall arrive at 10 a.m. (나는 오전 10시에 도착할 것이다.)Shall의 과거형이지만, 일반적으로 "예상, 가능성"의 의미로 사용됨. e.g., He should be here soon. (그는 곧 올 것이다.)의무 / 강한 의지법률, 규칙, 계약서에서 강한 의무를 나타냄. e.g., Empl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