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공부하기

초등학교 2학년 (국어) 높임말과 반말의 차이점

728x90

1. 높임말과 반말이란?

✔️ 높임말(존댓말): 상대방을 공손하게 대하는 말
✔️ 반말: 친한 사람들끼리 편하게 쓰는 말

📌 높임말을 사용하는 경우

  • 어른이나 처음 만난 사람에게 말할 때
  • 선생님, 부모님, 할머니, 할아버지 등 존경해야 하는 사람과 대화할 때
  • 공적인 자리에서 예의를 갖추어야 할 때

🔹 예시

  • 밥 먹었어?식사하셨어요?
  • 어디 가?어디 가세요?
  • 잘 잤어?안녕히 주무셨어요?

📌 반말을 사용하는 경우

  • 친한 친구나 가족(형제자매)과 이야기할 때
  • 나이가 비슷하거나 어린 사람과 편하게 이야기할 때
  • 친한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할 때

🔹 예시

  • 어디 가세요?어디 가?
  • 식사하셨어요?밥 먹었어?
  • 좋아하세요?좋아해?

2. 높임말과 반말의 차이점

구분 높임말 반말
사용 대상 어른, 선생님, 처음 만난 사람 친구, 형제, 나보다 어린 사람
문장 끝 어미 -요, -세요, -습니다 -야, -니, -어
예시 (안부 묻기) "안녕하세요?" "안녕?"
예시 (식사 여부 묻기) "식사하셨어요?" "밥 먹었어?"
예시 (이름 부르기) "김철수 선생님" "철수야"

3. 높임말을 만드는 방법

높임말을 만들 때는 동사와 형용사의 끝을 공손한 표현으로 바꾸어야 해요.

📌 1) 동사의 높임말 변화

  1. "-아/어" → "-아요/어요"
    • 먹어 → 먹어요
    • 가 → 가요
    • 자 → 자요
  2. "-니/냐" → "-세요?"
    • 뭐 하니? → 뭐 하세요?
    • 어디 가냐? → 어디 가세요?
  3. "-는다/ㄴ다" → "-습니다/ㅂ니다"
    • 좋아한다 → 좋아합니다
    • 간다 → 갑니다

📌 2) 특정한 높임말 표현

어른이나 윗사람에게는 단순히 어미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높임말 표현도 사용해야 해요.

일반 말 높임말
진지
말씀
이름 성함
자다 주무시다
먹다 드시다
주다 드리다
있다 계시다

🔹 예시 문장

  • 할머니가 자요. (X) → 할머니가 주무세요. (O)
  • 선생님이 밥을 먹어요. (X) → 선생님이 식사하셨어요. (O)

4. 높임말과 반말 학습을 위한 활동

아이들이 높임말과 반말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미있는 활동을 해보는 것이 좋아요.

🎯 1) 반말 → 높임말 바꾸기 게임

아이에게 반말 문장을 주고 높임말로 바꿔 보게 해요.

예시:

  • "밥 먹었어?" → "식사하셨어요?"
  • "잘 잤어?" → "안녕히 주무셨어요?"

🎯 2) 역할극 놀이

아이와 함께 다양한 역할을 정하고 높임말과 반말을 사용해 대화해 보세요.

  • 선생님과 학생
  • 친구와 친구
  • 할머니와 손자

🎯 3) 높임말 퀴즈

어떤 상황에서 높임말을 사용해야 하는지 질문하고 맞혀보게 해요.

  • "할머니께 '안녕?'이라고 말해도 될까요?" (X)
  • "친구한테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해야 할까요?" (X)

5. 정리

높임말은 공손하게, 반말은 편하게!
어른과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높임말을 사용해야 해요.
친한 친구나 동생에게는 반말을 써도 괜찮아요.
특정한 높임말 단어도 함께 익혀야 해요.

높임말과 반말을 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의사소통의 기본이에요! 아이가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와 대화를 통해 연습해 보면 좋겠어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