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공부하기

속담 (ㄱ~ㅎ)

728x90

  • 가는 날이 장날이다: 원하지 않는 일이 일어날 때 쓰는 말. 예: "오늘 가게에 갔더니 문이 닫혀 있었어. 가는 날이 장날이다."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강한 사람들끼리 싸울 때 약한 사람이 피해를 본다는 뜻. 예: "형제들끼리 싸울 때 동생이 피해를 보는 거야.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 누워서 떡 먹기: 매우 쉬운 일을 뜻하는 말. 예: "이 문제는 누워서 떡 먹기야."

  • 당연한 일에 의심하지 말라: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일을 너무 의심하거나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라는 의미. 예: "그것은 당연한 일이니까 당연한 일에 의심하지 말라."

  •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큰 성과는 시간이 걸리므로 서두르지 말라는 뜻. 예: "지금 공부는 힘들지만,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 말이 씨가 된다: 말하는 대로 일이 이루어질 수 있으니 조심해서 말하라는 뜻. 예: "다음 시험이 쉬운 게 좋겠다고 말했는데, 그 말이 씨가 된 거야."

  • 백문이 불여일견: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더 낫다는 뜻. 예: "그 물건이 어떤지 안 믿어지면 직접 가서 보는 게 낫다. 백문이 불여일견."

  • 서당 개 삼 년에 풍월을 한다: 아무리 못하는 사람도 시간이 지나면 능숙해진다는 뜻. 예: "처음엔 어렵다고 해도 서당 개 삼 년에 풍월을 한다."

  • 어려운 줄 알면서도 시작한다: 처음부터 어려운 일이라면 피하지 말고 시작해 보라는 의미. 예: "그 일은 어려운 줄 알지만 도전해봐. 어려운 줄 알면서도 시작한다."
  • 으르렁거리는 개는 물지 않는다: 말만 시끄럽고 실제로는 해를 끼치지 않는 사람을 의미. 예: "그 친구는 자꾸 시끄럽게 말하지만 사실은 걱정할 필요 없어. 으르렁거리는 개는 물지 않는다."

  •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낫다: 직접 경험하거나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 예: "책에서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직접 해보는 게 더 중요하다.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낫다."
  • 빈 수레가 요란하다: 실속이 없는 사람이 큰소리치는 모습을 비유한 말. 예: "그 사람이 자꾸 떠들지만 사실 잘 모른다. 빈 수레가 요란하다."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일이 끝난 뒤에 후회해도 소용없다는 뜻. 예: "문을 잠그지 않아서 책이 젖었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쉬운 일은 없다: 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노력 없이는 성과를 얻을 수 없다는 뜻. 예: "이 문제는 쉬워 보이지만, 쉬운 일은 없다."

  • 어제의 일은 오늘의 일로 덮다: 과거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고 넘어가자는 뜻. 예: "어제 실수했더라도 오늘은 다시 열심히 하면 돼. 어제의 일은 오늘의 일로 덮자."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아무리 약한 존재라도 자극을 받으면 반응을 보인다는 뜻. 예: "너는 항상 조용히 있는 친구지만,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 칠전팔기: 여러 번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한다는 뜻. 예: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칠전팔기 정신으로 계속 시도했어."
  • 치킨을 먹은 후에 뼈를 긁지 말라: 나쁜 일은 지나가면 다시 되돌리기 어렵다는 뜻. 예: "그런 실수는 다시 반복하지 않도록 하자. 치킨을 먹은 후에 뼈를 긁지 말라."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온다는 뜻. 예: "열심히 공부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거야.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어떤 일을 이루려면 그 일에 맞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뜻. 예: "그 일을 하고 싶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해.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 흘러간 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 이미 지나간 일은 되돌릴 수 없다는 뜻. 예: "그때는 잘못했지만, 흘러간 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

 

728x90

'국어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 1  (0) 2025.01.20
한자성어 (ㄱ~ㅎ)  (0) 2025.01.17
사자성어 (ㅊ~ㅎ)  (0) 2025.01.15
사자성어 (ㅅ~ㅈ)  (0) 2025.01.14
사자성어 (ㄱ~ㅁ)  (0)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