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공부하기

사자성어 (ㅅ~ㅈ)

728x90

ㅅ (시옷)

  1. 사면초가 (四面楚歌)
    • 뜻: 사방에서 적에게 포위되어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태.
    • 예: 숙제를 안 해서 지금 사면초가에 빠졌어.
  2. 산전수전 (山戰水戰)
    • 뜻: 산에서의 싸움과 물에서의 싸움을 다 겪음.
    • 설명: 세상의 온갖 어려움을 겪은 사람을 말함.
    • 예: 산전수전을 겪은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감동적이다.
  3. 새옹지마 (塞翁之馬)
    • 뜻: 인생은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돌고 돎.
    • 설명: 나쁜 일이 좋은 일로 바뀔 수도 있다는 뜻.
    • 예: 시험에 떨어졌지만 더 좋은 기회가 올 거야. 새옹지마니까.
  4. 선견지명 (先見之明)
    • 뜻: 앞날을 미리 내다보는 지혜.
    • 예: 선생님은 우리에게 선견지명으로 중요한 조언을 주셨다.
  5. 속수무책 (束手無策)
    • 뜻: 손을 묶은 듯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
    • 예: 고장난 컴퓨터 앞에서 속수무책이었다.
  6. 수수방관 (袖手傍觀)
    • 뜻: 소매에 손을 넣고 보고만 있음.
    • 설명: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방관함.
    • 예: 친구가 어려움을 겪을 때 수수방관하면 안 된다.

ㅇ (이응)

  1. 아전인수 (我田引水)
    • 뜻: 자기 논에 물을 끌어들인다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유리하게 행동함.
    • 예: 친구가 자기만 이득을 보려고 아전인수 격으로 행동해서 속상했다.
  2. 안빈낙도 (安貧樂道)
    • 뜻: 가난하지만 도를 즐기며 편안하게 살아감.
    • 예: 돈보다는 행복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안빈낙도를 실천해야 한다.
  3. 약육강식 (弱肉強食)
    • 뜻: 약한 자는 강한 자에게 먹힌다는 뜻으로, 강자가 약자를 지배함.
    • 예: 동물의 세계는 약육강식이 지배하는 곳이다.
  4. 양두구육 (羊頭狗肉)
    • 뜻: 겉은 그럴듯하지만 속은 다름.
    • 예: 광고는 멋지지만 품질은 별로라니 양두구육이네.
  5. 어부지리 (漁父之利)
    • 뜻: 둘이 싸우는 틈에 제삼자가 이득을 봄.
    • 예: 친구 둘이 다투는 사이에 나는 어부지리로 이득을 봤다.
  6. 언중유골 (言中有骨)
    • 뜻: 말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 평범한 말 속에 깊은 뜻이 담겨 있음.
    • 예: 선생님의 조언에는 언중유골이 있으니 잘 들어야 한다.
  7. 우공이산 (愚公移山)
    • 뜻: 어리석은 할아버지가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꾸준히 하면 큰일도 이룰 수 있음.
    • 예: 우공이산처럼 열심히 노력하면 결국 목표를 이룰 거야.
  8. 유비무환 (有備無患)
    • 뜻: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걱정이 없음.
    • 예: 비가 올 줄 알고 우산을 챙겼더니 유비무환이었어.

ㅈ (지읒)

  1. 자수성가 (自手成家)
    • 뜻: 스스로 노력해 집안을 일으킴.
    • 예: 그는 자수성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2. 작심삼일 (作心三日)
    • 뜻: 결심이 3일을 가지 못함.
    • 예: 다이어트를 시작했는데 작심삼일로 끝났다.
  3. 전전긍긍 (戰戰兢兢)
    • 뜻: 매우 두려워하며 걱정함.
    • 예: 시험 결과를 기다리며 전전긍긍했다.
  4. 조삼모사 (朝三暮四)
    • 뜻: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를 준다는 뜻으로, 눈앞의 차이만 신경 씀.
    • 예: 조삼모사로 친구들을 속이려 해서는 안 된다.
  5. 죽마고우 (竹馬故友)
    • 뜻: 어릴 때부터 함께 놀며 친하게 지낸 친구.
    • 예: 죽마고우와 함께 학교에 다녀서 즐겁다.
  6. 지피지기 (知彼知己)
    • 뜻: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음.
    • 예: 지피지기 정신으로 상대 팀을 연구했다.
728x90

'국어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 (ㄱ~ㅎ)  (0) 2025.01.16
사자성어 (ㅊ~ㅎ)  (0) 2025.01.15
사자성어 (ㄱ~ㅁ)  (1) 2025.01.13
한자능력검정시험 8급에 나오는 한자  (0) 2024.11.24
한자능력검정시험 준비하기  (1) 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