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문장 만드는 방법 (Detailed Guide on Modal Verb Sentences)
조동사(Modal Verbs)는 동사의 의미를 보완하며, 가능성, 능력, 의무, 허가, 추측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조동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 때는 기본 규칙과 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조동사의 기본 규칙
조동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 때 반드시 지켜야 할 3가지 핵심 규칙이 있습니다.
① 조동사 + 동사 원형
조동사 뒤에는 동사 원형(Base Form)이 옵니다. to부정사(X), 동사 변형(X) 사용하지 않습니다.
✅ 올바른 문장:
✔ She can swim. (그녀는 수영할 수 있다.)
✔ You must study hard. (너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 잘못된 문장:
🚫 She can swims. (X) → swim (원형) 사용해야 함
🚫 You must to study. (X) → to study(X) → study(O)
② 조동사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조동사는 반드시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조동사 단독으로는 문장이 완성되지 않습니다.
✅ 올바른 문장:
✔ She might come later. (그녀는 나중에 올지도 모른다.)
❌ 잘못된 문장:
🚫 She might. (X) → 뒤에 동사가 있어야 함
③ 조동사는 주어에 따라 변형되지 않는다
일반 동사와 달리 조동사는 주어가 바뀌어도 형태가 변하지 않습니다.
✅ 올바른 문장:
✔ I can play the piano.
✔ He can play the piano.
✔ They can play the piano.
🚫 잘못된 문장:
🚫 He cans play the piano. (X) → 조동사는 변형되지 않음
2. 조동사를 활용한 문장 만들기 (용법별 예문 포함)
조동사는 의미에 따라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주요 조동사와 함께 문장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능력 (Ability) → "can, could"
- can → 현재 능력
- could → 과거 능력
✅ 예문:
✔ I can swim. (나는 수영할 수 있다.)
✔ She could run fast when she was young. (그녀는 어렸을 때 빨리 달릴 수 있었다.)
2) 가능성 (Possibility) → "may, might, could"
- may → 50% 정도 가능성
- might → 30% 정도 가능성 (may보다 가능성이 낮음)
- could →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확신은 없음
✅ 예문:
✔ It may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지도 모른다.)
✔ She might be late. (그녀는 늦을 수도 있다.)
✔ This could be dangerous. (이것은 위험할 수도 있다.)
3) 요청 & 허가 (Request & Permission) → "can, could, may, shall"
- can / may → 허가 요청
- could / shall → 더 정중한 요청
✅ 예문:
✔ Can I go out? (나가도 될까요?)
✔ May I ask you a question? (질문해도 될까요?) → 더 정중함
✔ Could you help me? (도와주실 수 있나요?)
✔ Shall we dance? (춤출까요?)
4) 의무 & 필요 (Obligation & Necessity) → "must, have to, should"
- must → 강한 의무
- have to → 외부 요인에 의해 해야 하는 의무
- should → 해야 하는 것이 좋음 (권장)
✅ 예문:
✔ You must wear a seatbelt. (안전벨트를 꼭 매야 한다.)
✔ I have to finish my homework. (나는 숙제를 끝내야 해.)
✔ You should eat more vegetables. (너는 채소를 더 먹는 것이 좋아.)
🚫 잘못된 문장:
🚫 You musts wear a seatbelt. (X) → must는 변형되지 않음
5) 추측 (Deduction) → "must, can't, might"
- must → 강한 확신 (99% 확신)
- can't → 강한 부정 확신
- might → 가능성 있음
✅ 예문:
✔ He must be at home. (그는 집에 있을 게 확실해.)
✔ She can't be 50 years old. (그녀가 50살일 리가 없어.)
✔ They might be sleeping. (그들은 자고 있을 수도 있어.)
6) 가정법 (Conditional) → "would, could, might"
- would → ~할 텐데 (가정)
- could → ~할 수도 있었는데
- might → ~했을지도 몰라
✅ 예문:
✔ If I were rich, I would buy a big house. (내가 부자라면 큰 집을 살 텐데.)
✔ If we left earlier, we could have caught the train. (우리가 더 일찍 떠났다면 기차를 잡을 수도 있었는데.)
✔ If I had studied harder, I might have passed the exam.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다면 시험을 통과했을지도 몰라.)
3. 부정문과 의문문 만들기
① 부정문 만들기
조동사 뒤에 **"not"**을 붙이면 부정문이 됩니다.
✅ 예문:
✔ I cannot (can't) swim. (나는 수영을 할 수 없다.)
✔ You should not (shouldn't) eat too much junk food. (너는 정크푸드를 너무 많이 먹지 않는 게 좋아.)
✔ He must not (mustn't) be late. (그는 늦으면 안 돼.)
② 의문문 만들기
조동사를 문장 맨 앞에 두면 의문문이 됩니다.
✅ 예문:
✔ Can you help me? (나 좀 도와줄 수 있어?)
✔ Should I call her? (내가 그녀에게 전화해야 할까?)
✔ May I leave now? (이제 가도 될까요?)
'외국어 공부하기 >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부정문 만드는 법 (0) | 2025.04.11 |
---|---|
조동사 문장 만들기 연습 (0) | 2025.04.10 |
조동사 "have to" (0) | 2025.04.08 |
조동사 "Will" vs. "Shall" 비교 (0) | 2025.04.07 |
조동사 "Will" vs. "Would" 비교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