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조동사 should의 의미와 용법
조동사 "should"는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좋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조언, 의무, 가능성, 추측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상황에 따라 강한 의무를 나타내기도 하고, 부드러운 조언을 할 때도 사용됩니다.
1. 조언 또는 권장 ("~하는 것이 좋다")
"should"는 누군가에게 조언을 하거나 추천할 때 사용됩니다.
📌 (일반적인 조언)
- You should eat more vegetables.
(너는 야채를 더 많이 먹는 것이 좋다.) - You should exercise regularly.
(너는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
📌 (부드러운 권장)
- You should try this new restaurant.
(이 새 레스토랑을 한번 가보는 게 어때?) - He should apologize for what he said.
(그는 자기가 한 말에 대해 사과해야 해.)
✅ 비슷한 표현:
- "ought to" → You ought to see a doctor. (의사를 만나는 게 좋겠어.)
- "had better" → You had better be careful. (조심하는 게 좋을 거야.) (더 강한 경고의 의미)
2. 의무 또는 도덕적 책임 ("~해야 한다")
"should"는 도덕적·사회적 의무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일반적인 의무 표현)
- Drivers should follow traffic rules.
(운전자들은 교통 법규를 따라야 한다.) - Parents sh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부모는 아이들을 돌봐야 한다.)
📌 (강한 의무 표현 – must와 비교)
- You should submit the report by tomorrow.
(보고서를 내일까지 제출해야 해.) → 비교적 부드러운 의무 - You must submit the report by tomorrow.
(보고서를 반드시 내일까지 제출해야 해.) → 더 강한 의무
3. 가능성 또는 예상 ("아마 ~일 것이다")
"should"는 어떤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때 사용됩니다.
📌 (논리적 추론)
- The train should arrive soon.
(기차가 곧 도착할 거야.) - She should be home by now.
(그녀는 지금쯤 집에 도착했을 거야.)
📌 (확신이 있는 추측 – must와 비교)
- He should be fine.
(그는 괜찮을 거야.) → 비교적 확신이 적음 - He must be fine.
(그는 분명 괜찮을 거야.) → 더 강한 확신
4. 후회 또는 비판 (should have + p.p.) – "했어야 했는데 (안 했다)"
"should have + 과거분사"는 과거에 해야 했지만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나 비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후회 또는 비판)
-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나는 더 열심히 공부했어야 했는데.) - You should have called me.
(너는 나에게 전화했어야 했어.) - He shouldn’t have said that.
(그는 그런 말을 하지 말았어야 했어.)
💡 비슷한 표현:
- "could have + p.p." → You could have won the game. (너는 경기에서 이길 수도 있었어.) (가능성)
5. 만약을 대비한 조언 ("혹시라도 ~하면")
"should"는 가정법에서 만약의 상황을 대비한 조언을 할 때 사용됩니다.
📌 (만약 ~한다면)
- Should you need any help, let me know.
(혹시라도 도움이 필요하면 알려줘.) - Should it rain tomorrow, we will cancel the trip.
(혹시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리는 여행을 취소할 거야.)
💡 "if" 대신 "should"를 사용하면 더 격식 있는 느낌이 납니다.
- If you need any help, let me know. → 일반적인 표현
- Should you need any help, let me know. → 더 격식 있는 표현
6. 명령 또는 강한 요구 ("~해야 한다")
공식적인 문서나 강한 요구 사항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규칙이나 요구사항)
- All employees should wear safety gear.
(모든 직원은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 Visitors should report to the reception desk.
(방문자는 접수 데스크에 신고해야 한다.)
💡 법률 문서에서는 "shall"이 더 자주 사용됩니다.
- All employees shall wear safety gear. (더 강한 법적 의무)
7. Shall vs. Should 차이점
구분 | Shall | Should |
공식적인 법률, 규정 | ✅ (법적 의무) | ❌ (일반적인 의무) |
일반적인 의무, 조언 | ❌ | ✅ (부드러운 의무) |
미래 의도 | ✅ | ❌ |
추측·가능성 | ❌ | ✅ |
과거 후회 (should have + p.p.) | ❌ | ✅ |
728x90
'외국어 공부하기 >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will (0) | 2025.04.04 |
---|---|
조동사 Shall vs. Should 비교 (0) | 2025.04.03 |
조동사 shall (1) | 2025.04.01 |
조동사 must (0) | 2025.03.31 |
🚀 조동사 "may" vs. "might" 완벽 비교! 🚀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