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정문은 be 동사 뒤에 "not"을 추가해서 주어가 어떤 상태가 아님을 표현합니다.
1. 아주 쉬운 문장
기본 공식
주어 + be동사 + not + 보어
설명
- 주어: I, He, She, It, We, You, They
- 보어: 주어를 설명하는 명사, 형용사, 장소 등
예시
- I am not happy. (나는 행복하지 않아요.)
- She is not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 아니에요.)
- They are not students. (그들은 학생이 아니에요.)
2. 조금 더 복잡한 문장 (장소와 시간 추가)
확장 공식
주어 + be동사 + not + 장소/시간
설명
- 주어가 어디에 있지 않은지, 언제가 아닌지 표현합니다.
예시
- I am not at home. (나는 집에 있지 않아요.)
- He is not in the park. (그는 공원에 없어요.)
- We are not at school. (우리는 학교에 없어요.)
- Today is not Monday. (오늘은 월요일이 아니에요.)
- It is not 3 o’clock. (지금은 3시가 아니에요.)
3. 긴 문장 만들기 (상태 + 장소 + 이유 포함)
응용 공식
주어 + be동사 + not + 상태 + 장소 + 이유
설명
- 상태와 장소를 모두 포함하며, 이유까지 설명합니다.
예시
- I am not tired because I slept well.
(나는 잘 자서 피곤하지 않아요.) - She is not at the library because she is at the gym.
(그녀는 도서관에 있지 않아요. 왜냐하면 체육관에 있어요.) - They are not happy because they lost the game.
(그들은 경기를 져서 행복하지 않아요.)
4. 어려운 문장 (추측/시간/추가 설명 포함)
확장 공식
주어 + be동사 + not + 상태/정보 + 추가 설명 (부사/부연정보)
설명
- 더 복잡한 정보를 덧붙이며 문장이 길어집니다.
예시
- She is not very busy because she finished her work.
(그녀는 일을 끝냈기 때문에 별로 바쁘지 않아요.) - We are not excited to go out since it’s raining.
(비가 와서 우리는 외출이 기대되지 않아요.) - The cat is not on the roof anymore because it climbed down.
(고양이는 더 이상 지붕에 있지 않아요. 왜냐하면 내려왔어요.)
5. 단축형 사용하기
일상 영어에서는 be동사 + not을 줄여서 쓰는 경우가 많아요.
단축형 공식
- I am not → 줄이지 않음
- He/She/It is not → He/She/It isn’t
- You/We/They are not → You/We/They aren’t
예시
- He isn’t here. (그는 여기 없어요.)
- We aren’t ready. (우리는 준비되지 않았어요.)
- She isn’t tired. (그녀는 피곤하지 않아요.)
6. 연습 문제
아래 문장을 부정문으로 바꿔보세요:
- She is a doctor. → She __________ a doctor.
- They are in the park. → They __________ in the park.
- I am happy. → I __________ happy.
정답
- She is not a doctor.
- They are not in the park.
- I am not happy.
7. 정리 꿀팁
- be동사 뒤에 "not"을 붙이면 부정문이 돼요.
- 주어와 be동사를 일치시키는 게 중요합니다!
- 단축형으로 쓰면 더 자연스럽고 간단해요.
728x90
'외국어 공부하기 >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동사 문제 (긍정문/부정문/의문문) (0) | 2024.12.17 |
---|---|
초보자를 위한 be동사 의문문 만들기 (1) | 2024.12.16 |
초보자를 위한 be동사 긍정문 만들기 (2) | 2024.12.14 |
초보자를 위한 be동사 사용 가이드 (0) | 2024.12.13 |
be동사 문장 기본 공식 (0)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