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학년 수학 ‘평균과 가능성’ 서술형 & 실생활 문제
🟦 1단계: 쉬운 서술형 문제
문제 1 (평균)
철수는 3일 동안 아래와 같이 공부했어요.
첫째 날 2시간, 둘째 날 3시간, 셋째 날 1시간 공부했습니다.
철수의 하루 평균 공부 시간은 얼마인지 자신의 말로 설명해 보세요.
문제 2 (가능성)
주머니에 빨간색 공 2개, 파란색 공 2개가 있어요.
눈을 감고 공 하나를 뽑았을 때, 파란색 공이 나올 가능성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적어 보세요.
🟩 2단계: 기본 서술형 문제
문제 3 (평균)
다섯 명의 친구가 학교까지 걸어간 거리가 각각 400m, 500m, 600m, 550m, 450m입니다.
친구들이 걸어간 거리의 평균은 얼마인지, 그리고 그 값을 어떻게 구했는지 자신의 말로 써 보세요.
문제 4 (가능성)
동전을 1번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올 가능성에 대해, 동전의 모양과 함께 자세히 설명해 보세요.
🟨 3단계: 중급 서술형 문제
문제 5 (평균)
4과목 시험 점수가 80점, 85점, 90점, 그리고 한 과목 점수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전체 평균 점수가 85점일 때, 모르는 과목의 점수를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해 보세요.
문제 6 (가능성)
색종이 10장이 들어 있는 주머니에서 빨간색 4장, 노란색 3장, 파란색 3장이 있습니다.
눈을 감고 한 장을 뽑았을 때 노란색 종이가 나올 가능성은 얼마인지 계산하고, 그 이유를 서술해 보세요.
🟧 4단계: 어려운 서술형 문제
문제 7 (평균)
다섯 가족의 주간 TV 시청 시간이 각각 10시간, 12시간, 15시간, 9시간, 14시간일 때,
이 가족들의 평균 TV 시청 시간은 얼마인지 구하고, 그 값을 구하는 과정을 자세히 써 보세요.
그리고 만약 6번째 가족이 11시간 TV를 본다면 평균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설명해 보세요.
문제 8 (가능성)
학교에서 설문조사를 했더니 학생 30명 중 18명이 축구를 좋아하고, 12명이 농구를 좋아합니다.
학생 한 명을 무작위로 뽑았을 때 축구를 좋아할 가능성과 농구를 좋아할 가능성을 각각 구하고, 이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자신의 말로 서술해 보세요.
📝 정답 예시 (간단히)
- 문제1 답 예시:
“3일 동안 공부한 시간을 모두 더해서 3으로 나누면 하루 평균 공부 시간을 알 수 있어요. 2+3+1=6시간, 6÷3=2시간이에요.” - 문제5 답 예시:
“전체 평균이 85점이고 4과목이니까 85×4=340점이 전체 점수예요. 이미 알고 있는 3과목 점수를 더하면 80+85+90=255점이에요. 340에서 255를 빼면 85점이 남으니까 모르는 과목 점수는 85점이에요.”
📘 ‘평균과 가능성’ 서술형 문제 정답지
🟦 1단계: 쉬운 서술형 문제 정답
문제 1 (평균)
정답 예시:
“철수는 3일 동안 공부한 시간을 모두 더했어요.
2 + 3 + 1 = 6시간이에요.
그리고 3일 동안 공부했으니까 6을 3으로 나누면 돼요.
6 ÷ 3 = 2시간이니까 철수의 하루 평균 공부 시간은 2시간이에요.”
문제 2 (가능성)
정답 예시:
“주머니에 빨간 공 2개, 파란 공 2개가 있어서 총 4개가 있어요.
파란 공은 2개니까 전체 공 4개 중에서 2개가 파란 공이에요.
그래서 파란 공이 나올 가능성은 2/4, 즉 1/2이에요.
즉, 반은 파란 공이 나올 수 있다는 뜻이에요.”
🟩 2단계: 기본 서술형 문제 정답
문제 3 (평균)
정답 예시:
“친구들이 걸어간 거리를 모두 더해요.
400 + 500 + 600 + 550 + 450 = 2500m
친구가 5명이니까 2500을 5로 나누면 돼요.
2500 ÷ 5 = 500m
그래서 친구들의 평균 걸어간 거리는 500m예요.”
문제 4 (가능성)
정답 예시:
“동전은 앞면과 뒷면 두 개 면이 있어요.
동전을 던지면 앞면이나 뒷면 중 하나가 나와요.
그래서 앞면이 나올 가능성은 2개 중 1개니까 1/2이에요.
즉, 50% 확률이에요.”
🟨 3단계: 중급 서술형 문제 정답
문제 5 (평균)
정답 예시:
“전체 평균이 85점이고, 과목 수는 4과목이니까
85 × 4 = 340점이 전체 점수예요.
알고 있는 3과목 점수를 모두 더해요.
80 + 85 + 90 = 255점
340에서 255를 빼면 모르는 점수가 나와요.
340 − 255 = 85점
그래서 모르는 과목 점수는 85점이에요.”
문제 6 (가능성)
정답 예시:
“주머니에 색종이 10장이 있어요.
노란색은 3장이에요.
그래서 노란색을 뽑을 가능성은 전체 10장 중 3장이니까 3/10이에요.
가능성은 전체 중 원하는 결과가 나올 비율을 말해요.”
🟧 4단계: 어려운 서술형 문제 정답
문제 7 (평균)
정답 예시:
“다섯 가족의 TV 시청 시간을 모두 더해요.
10 + 12 + 15 + 9 + 14 = 60시간
가족 수가 5명이니까 60을 5로 나누면 평균이 나와요.
60 ÷ 5 = 12시간
그래서 평균 TV 시청 시간은 12시간이에요.
6번째 가족이 11시간을 본다면 전체 시간은
60 + 11 = 71시간
가족 수는 6명이 되니
71 ÷ 6 ≈ 11.83시간
평균이 조금 줄어들어요.”
문제 8 (가능성)
정답 예시:
“학생 30명 중 18명이 축구를 좋아해요.
그래서 축구를 좋아할 가능성은 18/30, 즉 3/5이에요.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은 12명이고 가능성은 12/30, 즉 2/5예요.
이 결과는 축구를 좋아할 확률이 농구를 좋아할 확률보다 높다는 뜻이에요.”